ⓒ필통 제공
최근 전주시가 발주한 수백억원의 수의계약을 싹스리한 업체 영업 임원이 김승수 전주시장의 선거 홍보까지 나서고 있어 특혜 의혹을 낳고 있다.
더구나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특정 업체 임원이 SNS를 통해 김 시장을 지지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17일 현재 전북지역의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 공개된 계약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7월 1일부터 최근까지 A업체는 8건, 90억4200여만원의 물품을 수의계약으로 체결했다. 같은 기간 B업체는 10건 51억9000여만원의 물품을 해당지자체와 수의계약했다.
전주시는 ‘성능인증을 받은 제품’ 이거나 ‘농공단지 입주 공장이 직접 생산한 물품’ 등의 사유로 수의계약을 진행했다. A와 B업체 외에도 전북지역에 농공단지 기업이 있음에도 경쟁이 아닌 수의 1인 견적으로 계약이 진행됐다.
특히 조달청에서 조달우수제품으로 지정한 업체는 농공단지에 있음에도 해당 기간 납품 실적이 전무했다. 다른 업체의 경우에도 상황이 비슷했다.
비슷한 물품을 만드는 업체들은 제한경쟁 또는 일반경쟁으로 1~2건씩(각 계약 2~5억원 가량) 계약하는데 그쳤다. 이들 업체들 가운데 상당수가 농공단지에 입주한 기업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A업체 상무 명함을 사용하던 김모씨가 최근 진행된 지방선거 경선에 해당 김 시장을 지지해달라며 적극적으로 SNS 활동을 벌이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 김씨는 3월 29일 오후 5시27분께 페이스북은 프로필 사진을 해당 지자체장의 경선 프로필 사진으로 바꾸고 이후 경선 홍보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올렸다. 지난 13일까지 거의 매일 수차례 해당 지자체장의 홍보 이미지와 유리한 기사 등을 게시했다.
이에 대해 전북지역 업계 관계자는 “기술수준 등의 조건이 비슷하거나 우수함에도 불구함에도 해당 물품 계약을 사실상 A와 B업체가 모두 가져간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해당지자체장과 ‘특별한 관계’가 아니고서야 벌어질 수 없는 일이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의혹을 받고 있는 A업체 김모 상무는 수차례의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하지만 A업체는 “이 임원은 우리회사에 근무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1인 견적만으로 수십억원에 대한 수의계약을 체결한 점을 잘못된 부분이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