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전북 남원시와 산림청은 가칭 TF팀을 꾸려 이번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남원시 보절면 사촌마을과 대산면, 인월면 등 태양광설치 지역과 예정지 등 총 6군데를 방문했다.(류일렬 기자)
안전대책없는 태양광 발전시설허가로 '귀농인의 꿈 짓밟은 남원시'라는 타파인 보도(7월2일자 단독기사)와 관련, 산림청이 직접 조사에 나섰다. [단독] 귀농인의 꿈 짓밟은 남원시
지난 2일 본지는 '귀농인의 꿈을 뭉개버린 행정편의주의가 뒷말을 남기며 씁쓸한 행정의 추악한 민낯을 드러냈다'는 내용의 기사를 내보냈다.
이와 관련, 5일 전북 남원시와 산림청은 이번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남원시 보절면 사촌마을과 대산면, 인월면 등 태양광설치 지역과 예정지 등 총 6군데를 방문했다.
현장에서 태양광설치 후 관리 실태와 문제점, 태양광 예정부지의 문제점 등을 점검, 태양광시설에 대한 산지허가강화 법률개정안 등의 토대를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남원시 보절면 일대는 지난달 30일 오후 8시 사이에 사매면 68mm, 덕과면 110mm, 보절면 84mm의 집중호우가 쏟아져 남원시가 허가한 태양광시설 예정지에서 토사 유출로 농경지 침수 등의 피해를 키웠다.
이날 보절면 사촌마을 태양광 예정지를 둘러본 산림청 산지정책과 윤종혁 주무관은 "아직 어떤 판단을 내리기엔...?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사촌마을 주민들은 농지피해보상 주민대책위(위원장 박종구)을 구성, 남원시청 개발허가 부서를 항의 방문했다.
지난 3일 대책위는 이번 태풍으로 토사유출 피해를 입은 농가들의 억울한 사연과 무분별한 개발행위 허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5일 박종구 대책위원장은 "태양광을 설치하면 계속 피해가 이어질 것이고 특히 태양광 판넬을 세척하는 세정제때문에 유기농 농사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다"며 "남원시는 태양광시설 허가를 취소하고 원상복구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남원시청 산림과 이승재 계장은 "5일 남원시는 사방댐을 건설하고 농지정리를 해주는 것으로 안전대책협의를 마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