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와 아영면 두락리에 분포돼 있는 가야고분군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史蹟)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범위는 40필지 9만8,225㎡로 무덤이 분포돼 있는 면적 전체 규모다.
유곡·두락리 고분군 사적 지정은 호남권 가야문화유산 중에서는 최초 사례로 향후 영남권에 비해 저조했던 호남권 가야유적 조사와 연구에 큰 반향을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
남원시와 국민의당 이용호(남원임실순창) 의원실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22일 남원시 인월면과 아영면에 분포돼 있는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을 사적지로 지정 예고했다.
사적은 문화재 가운데 역사상·학술상 가치가 큰 유적지를 국가가 법적으로 특별히 지정한 것이다.
문화재는 크게 유형문화재·무형문화재·기념물·민속자료 등 4가지로 나뉘는데, 사적은 기념물에 들어가며 기념물에는 사적·명승·천연기념물 등이 있다.
남원 유곡·두락리 고분군은 지리산의 한줄기인 연비산(鳶飛山) 서쪽 능선을 따라 인월 성내마을 북쪽에 솟아있는 40여 기의 봉토분으로 지름 20m가 넘는 대형 무덤 12기를 포함하고 있다.
삼국시대 남원 운봉고원 지역에 존재했던 가야세력의 지배자 무덤으로 추정되며 1989년에 처음 발굴조사가 이뤄져 2011년 정밀지표조사, 2013년 32호분 발굴조사 등이 진행됐다.


발굴조사에서는 가야계 수혈식 석곽묘(구덩식 돌덧널무덤)는 물론 일부 백제계 횡혈식 석실분(굴식 돌방무덤)이 확인되고, 210여점의 철기류와 110여점의 토기류가 출토됐다.
특히 32호분에서는 가야영역권 최초로 청동거울(수대경), 금동신발 등의 최고급 위세품이 출토돼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남원시는 그동안 꾸준한 학술조사와 학술대회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유적 보존과 활용을 위한 종합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가야고분군 사적 승격을 위해 노력해 왔다.
지역 국회의원인 이용호 의원은 “이번 문화재청의 사적 지정 예고를 환영한다”고 밝히며 “남원은 우리나라 그 어느 지역보다도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지역이며, 그중에서도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은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문화 자산이다”이라고 추켜세웠다.
이환주 남원시장은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사적 지정을 계기로 남원은 물론 전북지역 가야문화유산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진정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기를 소망한다”며 “앞으로 가야유적에 대한 조사와 연구활동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사적 지정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