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가족위해서 오늘부터 금연 시작해요"

  • 등록 2019.05.31 17:58:48
크게보기

31일 오전 세계 금연의 날 행사 열려
금연 불가능한 미션인가?
백해무익한 담배의 위험성
니코틴 보충위해 다시 담배 피우는 악순환

오늘 5월 3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세계 금연의 날’이다.

 

담배의 해로움을 강조하는건 이제 더 이상 반복하지 않아도 될 만큼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애연가들에게 이런 메시지는 큰 울림을 주지 못한다. 바로 담배의 중독성 때문이다.

 

하지만 ‘노력해서 안 되는 일은 없다’는 말처럼 끊기 힘든 담배도 본인의 의지에 따라 금연 성공은 가능하다. 

 

만병의 근원이지만 니코틴 의존성 때문에 끊기 힘든 담배에는 니코틴과 타르를 포함해 4,000종 이상의 물질이 들어 있다.

 

이 중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발암제와 신경자극제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장기간 흡연을 하게 될 경우 심장병, 만성호흡기질환, 폐암 등에 걸릴 위험이 수 십 배 이상 증가한다.

 

WHO에 따르면 흡연은 매년 700만명을 사망에 이르게 하고 있다. 이 중 심혈관질환으로 사망 중 약 12%는 흡연과 관련이 있다.

 

평생 담배를 피운 사람은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은 사람에 비해 수명이 15~20년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엔 담배도 진화하면서 흡연자들은 더욱 금연이 어려운 상황이다. 궐련형 전자담배에 이어 최근에는 USB처럼 생긴 액상 전자담배까지 국내에 출시됐다.

 

한 흡연자는 “담배를 끊어야겠다는 생각은 많지만 냄새가 나지 않는 전자담배가 나오면서 담배를 피운다는 걸 주변에서 모르는 경우도 많아 금연에 대한 강한 압박은 못 느끼고 있다"며 “더구나 최근 나오는 전자담배는 디자인도 예뻐서 흡연자에게는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전자담배 역기 기존의 궐련형담배에 비해 건강에 덜 해롭다는 근거는 없다.

 

작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유해물질을 90% 이상 줄였다는 가열담배 회사의 주장에 대해 가열담배가 신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 자체를 줄인다 하더라도 이 같은 노출 감소가 흡연 관련 질병의 발병률 및 사망률의 실질적인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발표했다. 

 

또 세계보건기구는 가열담배가 기존 궐련에 비해 덜 유해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없으며, 간접흡연 측면에서 잠재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가열담배의 성분을 분석한 다수 연구에 의하면 가열담배에도 일반 담배와 거의 동일한 함량의 니코틴이 포함되어 있다.

 

니코틴은 담배를 피우고 10초 이내에 뇌로 전달돼 혈압 상승 및 심근 수축 증가로 인한 심장 질환을 유발하고 관상동맥 혈류의 이상반응 및 심장근육세포의 능력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결국 니코틴이 포함된 모든 종류의 담배는 결국 건강을 해친다는 의미다. 

 

이처럼 어려운 금연을 위해서는 준비가 필요하다. 무작정 금연을 시도하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금연 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금연일을 정하고 달력에 표시한 뒤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언제부터 금연을 시작한다고 알리는 것이 좋다.

 

간단한 내기나 벌금으로 강제성을 주고 담배를 생각나게 하는 모든 것을 치우는 것부터가 금연의 시작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전문가와 금연보조제의 도움 없이 금연에 성공하는 확률은 3~4%에 불과하다. 흡연을 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면 심호흡을 하고 잠시 그 자리를 떠나 바깥 공기를 쐬면 담배 생각이 좀 줄어든다.

이상선 기자 bmw1972@daum.net
Copyright @2019 타파인. All rights reserved.



프로필 사진
이상선 기자

내 편인 사람들한테 비수를 꽂고, 상처 주는 일. 내 편인 사람들을 실망시키고, 불편하게 만드는 일. 남들은 기자가 하는 일이 '남의 비극 가지고 장사하는 거"라고 말한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명칭(법인명) : (유)섬진강언론문화원 | 제호 : 타파인 | 등록번호 : 전북 아00497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시청로 34-1, 2층 | 등록일 : 2014-04-12 | 발행일 : 2014-04-12 대표 : 이상국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진주 | 대표전화 : 063-930-5001 | 팩스 : 0504-417-5000 타파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