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날 세시풍속
▷차례
제상 뒤에는 병풍을 둘러치고 제상에는 설음식[歲饌]을 갖추어 놓는다. 조상의 신주(神主), 곧 지 방(紙榜)은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일 경우에는 제상 위에 세워 놓고 차례를 지낸다.우리 민족의 가장 큰 명절 ‘설’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은 가가례(家家禮)라 하여 지방이나 가문에 따라 다른데, 대체로 차례상 앞 첫째 줄에는 과일을 놓는다. 이 때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둘째 줄에는 채(菜)나 나물류 를 놓는데, 포(脯)는 왼편에 식혜는 오른편에 놓고, 또 마른 것은 왼편에 젖은 것은 오른편에 놓으며, 나물류인 김치·청장(淸漿)·숙채(熟菜)는 가운데에 놓는다.
세째 줄에는 탕(湯)을 놓는데, 다섯 가지 맛을 갖춘 탕으로 단탕(單湯)·삼탕(三湯)·오탕(五湯)·칠탕(七湯) 등이라 하여 어탕 (魚湯)은 동쪽에 육탕(肉湯)은 서쪽에. 소탕(蔬湯)은 가운데에 놓는다.
네째 줄에는 적(炙:불에 굽 거나 찐 것)과 전(煎:기름에 튀긴 것)을 벌여 놓는데, 어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이 때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다섯째 줄에는 밥과 국을 놓는데, 밥 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또 떡은 오른쪽에 면(麵)은 왼쪽에 놓는다.
▷세배
설날 차례를 마친 뒤 조부모, 부모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 가족끼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는데 이를 세배(歲拜)라 한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식사를 마친 뒤에 일가친척과 이웃 어른들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세배를 드려야 할 어른이 먼 곳에 살고 있을 때에는 정월 15일까지 찾아가서 세배하면 예절에 어긋나지 않는 것으로 친다.
세배하러 온 사람이 어른일 때에는 술과 음식을 내어놓고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거나 덕담을 해준다. 세뱃돈은 나이가 많을수록 많이 주고 적을수록 적게 준다.
▷설빔
설날에 입는 새옷과 양말, 신발 등을 통틀어 설빔이라고 설빔(歲粧)이라고 한다. 아이들은 까치저고리라고 하는 고운 색동저고리를 입는데 대표적인 때때옷이라 할 수 있다. 이 설빔은 대보름까지 입는 것이 보통이다.
▷놀이
설날에는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투호 등의 전통놀이가 행해져 왔으나 현대에는 이러한 놀이문화가 많이 사라져 시대에 맞게 변형됐다. 요즘에 연휴에 맞춰 가족이 여행을 많이 가는 편이다.“떡국을 먹어야 나이 한살 더 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