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2탄] 장수군청은 무엇을 했나…인허가 과정에 쏟아지는 의혹
“지렁이 사육 허가, 결국 오니 건조장으로 변질”
산서면 퇴비공장 운영실태 논란
[장수=타파인 특별취재팀] = 장수군 산서면 신덕길에 위치한 지렁이 농장은 이미 오래 전부터 오니 처리장으로 둔갑해 주민들의 생활을 파괴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설은 수년간 별다른 제재 없이 운영돼 왔다. 주민들 사이에서 “군청은 도대체 무엇을 했느냐”는 분노의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 ‘지렁이 농장’ 허가가 어쩌다 ‘오니 처리장’으로 "주민공청회는 없었다" 당초 해당 시설은 지렁이를 키운다는 목적으로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운영자는 “지렁이 환경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도권에서 오니를 들여와 건조·처리하며 이익을 챙겨온 사실이 드러났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행정이 이를 알면서도 묵인했는지, 아니면 제대로 관리·감독조차 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혹이다. ■ 주민들의 의문 산서면 주민들은 군청이 인허가 과정에서 세밀한 검토를 하지 않았거나, 이후에도 관리·감독을 사실상 방기했다고 주장한다. 주민 김모씨(62)는 “처음 허가 당시 지렁이 농장이라고 해서 반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외부 오니가 들어와 마을이 악취로 뒤덮였다. 군청은 그동안 몰랐다는 말만 반복한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 군청의 책임론 환경 관련 인허가는 군청의 기본 책무다. 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