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가 지방재정 발주사업이 외지 업체에 독식돼 재원이 유출돼도 뒷짐만 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일반산업단지개발사업도 도내업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근 도내 초기우수처리장치(비점오염저감시설) 관련 업체들은 남원시가 일반산업단지 내에 설치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사업자로 외지업체를 선정했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택지나 산업단지 등을 개발할 때 비점오염물질을 정수하는 시설로, 남원시는 일반산업단지 실시설계용역 시행사를 통해 지난해 H회사를 선정했다. 공사금액은 9억8,000여만원이다.
도내 업체들이 남원시의 업체선정에 불만을 품고 있는 것은 선정 업체가 무늬만 도내 업체라는 의혹 때문이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산업단지 실시설계에 포함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설계단계에서 기술(특허)이 적용되면 업체가 선정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남원시는 여러 가지 간섭과 오해를 피하기 위해 설계용역사에 도내 업체를 한정해 선정을 맡겼다고 밝혔다.
하지만 도내 업체들은 선정 업체가 도내에다 간판만 내걸었지 공장 등 본사는 서울에 적을 둔 외지 사업자라고 주장했다.
실제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사업장 소재지를 찾아가면 군산의 외딴 농촌 야산 기슭에 위치한 레미콘공장이 나온다.
이곳 관계자도 회사 이름과 관계에 대해서는 “처음 들어본 이름이고 이 주변에는 그런 회사가 없다”고 말한다.
도내 업체들이 반발하는 이유다.
도내 한 업체대표는 “도내 토종기업이나 공장을 이전한 업체들은 그래도 도내 재정사업에 기대를 걸며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데, 도내업체가 다 도내업체가 아니듯이 선정 과정에 사업장 현지 확인이라도 한번 했으면 사정이 달라졌을 텐데 남원시는 허술한 대응에 탁상행정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남원시 관계자는 “해당 업체가 당초 제출한 서류의 사업장 소재지는 군산이었지만 다시 보완한 서류에는 지난해 11월 익산시에 공장등록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