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지방선거는 개표 결과가 말해주듯 여느 때 선거보다도 치열했다. 승자와 패자의 표 차이가 불과 수백 여 표에 불과할 정도로 박빙이었다. 그만큼 승자와 패자간의 앙금 또한 깊을 것으로 점쳐진다.
전북경찰이 선거법 위반으로 수사 중인 당선자가 무려 8-9명에 이르고 있다고 할 정도로 이번 선거는 치열했다. 그래서 매번 선거가 끝나면 지역화합이 최우선 화두로 등장하는 것이다.
실제로 당선자는 낙선자와 함께 화합의 길을 모색해야 하는 책무가 있다. 특히 단체장 당선자들은 상대측과의 화합 없이는 지역발전을 제대로 추진할 수 없음은, 지난 수년 동안 우리가 경험한 매우 잘못된 산물이다.
특히 선거과정에서 후보자의 명예를 크게 훼손될 수 있는 내용의 허위사실 유포 행위 등은 후보 당사자는 물론이고 그 가족들과 지지자들에게는 치명적인 상처를 준다.
그나마 당선자의 경우에는 당선 기쁨으로 나름의 아량을 베풀 수도 있겠지만, 대다수의 낙선자들은 돌이킬 수 없는 상처로 남게 돼 당선자의 통 큰 아량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여기에 낙선자와 그 지지자들 또한 선거 결과에 승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흔히 민주주의 꽃은 다수결의 원칙을 손꼽는다.
물론 다수의 생각이 모두 옳은 것은 아니다. 지난 세계사와 우리나라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소수 의견이 다수를 물리치고 좋은 결과를 나타낸 사례도 상당하다.
하지만 지역의 일꾼을 뽑는 지방선거나 리더십을 요구하는 지도자를 선출하는 선거에서는 다수결의 원칙이 존중돼야 함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일이다.
예컨대 한 표 차이로 진 후보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낙선자가 억울한 나머지 재선거를 요구하거나, 상대방의 승리를 인정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 까. 선거라는 제도 자체가 흔들릴 것은 자명한 일이다.
당연히 당선 및 낙선자 모두 선거 결과에 순응하고 인정을 해야 만이 지역화합이 이뤄질 뿐 아니라 지역발전 또한 시너지효과를 발휘한다. 낙선자의 입장에서는 다소 억울한 측면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개표 결과를 놓고 한탄만 하고 있을 것인가. 훌훌 털고 일어서 지역발전과 자신의 앞날을 위한 다음 단계를 설계해야 할 것이다.
당선자 또한 승리의 기쁨에 앞서 지역발전을 위한 로드맵과 경쟁자들의 좋은 공약 등을 꼼꼼히 챙겨 지역화합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특히 7월 취임에 앞서 자신의 발자취를 둘러보고, 한편으로는 지역발전을 위해 같이 경쟁했던 낙선자들을 찾아 위로와 함께 취임 후 해야 할 일들을 하나둘 챙겨야 한다.
부안과 임실의 경우 과거 단체장들의 잇따른 구속과 지역민들이 큰 아픈 상처를 안고 있다. 부안 주민들은 방폐장 유치를 놓고 찬성과 반대 의견으로 나눠져 오랫동안 두 진영으로 나눠져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작동되고 있다.
다행이도 당시 방폐장을 유치했던 김종규 전 군수가 이번 지방선거에 당선돼 지역주민들의 반목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임실의 경우에도 지방자치 부활이후 모든 단체장이 비리혐의로 구속되는 진기록을 연출했다. 당연히 지역주민들의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완주 또한 '전주-완주' 통합을 놓고 지난해에 이어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지역 여론이 찬·반으로 팽팽하게 갈라지는 등 부작용이 예상되고 있다.
이 밖에도 고창과 진안, 무주, 익산 등 거의 모든 지역에서 불과 수백표 차이의 선거전이 펼쳐지는 등 지역여론이 반목되고 있는 것이다.
이 처럼 지역 주민들끼리의 반목과 갈등은 지역발전의 큰 저해요소로 자리매김 된다. 옛말에 ‘누워서 침 뱉기’란 말이 있다.
지역화합은 특정인이 나선다고 무조건 이뤄지는 것은 절대 아니다. 당선 및 낙선자, 그리고 지역주민 모두가 나서서 적극적으로 치유책을 찾아야 성사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역화합이 어떤 정책보다도 최우선이라고 지적하는 것이다. 작금의 우리 현실은 한반도의 동과 서, 남과 북으로 나누어져 국론이 분열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크고 작은 선거 때마다 지역정서를 바탕으로 한 ‘묻지마식 선거’가 진행돼 국력낭비를 일삼고 있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이제 선거는 끝났다. 상호간의 진정한 화합만이 자신은 물론 지역의 발전을 담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당선자와 낙선자 모두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전주일보,발행인= 신 영 배
전북경찰이 선거법 위반으로 수사 중인 당선자가 무려 8-9명에 이르고 있다고 할 정도로 이번 선거는 치열했다. 그래서 매번 선거가 끝나면 지역화합이 최우선 화두로 등장하는 것이다.
실제로 당선자는 낙선자와 함께 화합의 길을 모색해야 하는 책무가 있다. 특히 단체장 당선자들은 상대측과의 화합 없이는 지역발전을 제대로 추진할 수 없음은, 지난 수년 동안 우리가 경험한 매우 잘못된 산물이다.
특히 선거과정에서 후보자의 명예를 크게 훼손될 수 있는 내용의 허위사실 유포 행위 등은 후보 당사자는 물론이고 그 가족들과 지지자들에게는 치명적인 상처를 준다.
그나마 당선자의 경우에는 당선 기쁨으로 나름의 아량을 베풀 수도 있겠지만, 대다수의 낙선자들은 돌이킬 수 없는 상처로 남게 돼 당선자의 통 큰 아량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여기에 낙선자와 그 지지자들 또한 선거 결과에 승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흔히 민주주의 꽃은 다수결의 원칙을 손꼽는다.
물론 다수의 생각이 모두 옳은 것은 아니다. 지난 세계사와 우리나라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소수 의견이 다수를 물리치고 좋은 결과를 나타낸 사례도 상당하다.
하지만 지역의 일꾼을 뽑는 지방선거나 리더십을 요구하는 지도자를 선출하는 선거에서는 다수결의 원칙이 존중돼야 함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일이다.
예컨대 한 표 차이로 진 후보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낙선자가 억울한 나머지 재선거를 요구하거나, 상대방의 승리를 인정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 까. 선거라는 제도 자체가 흔들릴 것은 자명한 일이다.
당연히 당선 및 낙선자 모두 선거 결과에 순응하고 인정을 해야 만이 지역화합이 이뤄질 뿐 아니라 지역발전 또한 시너지효과를 발휘한다. 낙선자의 입장에서는 다소 억울한 측면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개표 결과를 놓고 한탄만 하고 있을 것인가. 훌훌 털고 일어서 지역발전과 자신의 앞날을 위한 다음 단계를 설계해야 할 것이다.
당선자 또한 승리의 기쁨에 앞서 지역발전을 위한 로드맵과 경쟁자들의 좋은 공약 등을 꼼꼼히 챙겨 지역화합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특히 7월 취임에 앞서 자신의 발자취를 둘러보고, 한편으로는 지역발전을 위해 같이 경쟁했던 낙선자들을 찾아 위로와 함께 취임 후 해야 할 일들을 하나둘 챙겨야 한다.
부안과 임실의 경우 과거 단체장들의 잇따른 구속과 지역민들이 큰 아픈 상처를 안고 있다. 부안 주민들은 방폐장 유치를 놓고 찬성과 반대 의견으로 나눠져 오랫동안 두 진영으로 나눠져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작동되고 있다.
다행이도 당시 방폐장을 유치했던 김종규 전 군수가 이번 지방선거에 당선돼 지역주민들의 반목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임실의 경우에도 지방자치 부활이후 모든 단체장이 비리혐의로 구속되는 진기록을 연출했다. 당연히 지역주민들의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완주 또한 '전주-완주' 통합을 놓고 지난해에 이어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지역 여론이 찬·반으로 팽팽하게 갈라지는 등 부작용이 예상되고 있다.
이 밖에도 고창과 진안, 무주, 익산 등 거의 모든 지역에서 불과 수백표 차이의 선거전이 펼쳐지는 등 지역여론이 반목되고 있는 것이다.
이 처럼 지역 주민들끼리의 반목과 갈등은 지역발전의 큰 저해요소로 자리매김 된다. 옛말에 ‘누워서 침 뱉기’란 말이 있다.
지역화합은 특정인이 나선다고 무조건 이뤄지는 것은 절대 아니다. 당선 및 낙선자, 그리고 지역주민 모두가 나서서 적극적으로 치유책을 찾아야 성사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역화합이 어떤 정책보다도 최우선이라고 지적하는 것이다. 작금의 우리 현실은 한반도의 동과 서, 남과 북으로 나누어져 국론이 분열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크고 작은 선거 때마다 지역정서를 바탕으로 한 ‘묻지마식 선거’가 진행돼 국력낭비를 일삼고 있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이제 선거는 끝났다. 상호간의 진정한 화합만이 자신은 물론 지역의 발전을 담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당선자와 낙선자 모두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전주일보,발행인= 신 영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