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지리산그란폰도 당시 지리산 남원의 문화적 특성 남원은 전라북도의 동남부에 위치하여 동쪽은 경상남도의 함양군, 서쪽은 전라북도 임실군, 순창군, 북쪽은 장수군, 남쪽은 전라남도 구례군과 곡성군에 접하고 있다. 남원은 기후가 온난하고 토지가 비옥할 뿐 아니라 수리시설이 잘되어 농업이 발달하였고, 천혜의 자연 환경과 문화유산으로 관광도시로 각광을 받고 있는 도시다. 전라북도 지방에서 남원이 차지하는 역사적 문화적 비중은 대단하다. 통일신라시대 남원은 소경이 설치될 만큼 지리적. 정치적. 군사적 위상이 높은 지역이었다. 따라서 그만큼 국가적인 정책지원과 지배계층의 관심으로 인한 경제적. 정신적 풍요로움이 발전했던 곳이다. 이러한 정신문화의 발전은 불교. 유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 문화유산을 남겨 놓았다. 민족의 영산, 어머니 산인 지리산의 서북관문인 남원은 예로부터 천부지지(天府之地) 옥야백리(沃野百里)라 했다.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 생리조(生利條)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옥한 땅 중 전라도 남원(南原)이 있다. 벼 한말을 심으면 가장 많이 나는 곳은 140두를 추수할 수 있다.” 고 했다. 또 조선시대 전라감사를 지낸 김달순은
▲ 팀원들은 21일 오후 지리산 남원을 출발, 한양까지 약 330키롤 자전거를 탈 계획이다. 자전거를 입문하면서 처음으로 버킷리스트 계획을 세웠다. 그 중 하나인 자전거투어를 내일(21일) 실행할 계획이다. 지리산남원서 한양까지 약 330키롤 탄다. 팀원들은 투어 준비를 위해 한 달 넘게 남원지리산 주변을 하루 200키로씩 타며 체력을 키워왔다. 체력이 바닥인 난 죽기살기 자전거를 타도 무모한 도전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반쪽을 위해 도전한다. 목표는 안전 완주이지만, 반쪽과 버킷리스트를 함께할 수 있음이 내겐 벌써부터 행복이다. 지금껏 못난 신랑을 만나서 중심 잡아준 아내랑 함께라면 어디서든 축복임을 난 안다. 그리고 팀원들의 배려가 고맙다. 사실 이번 도전은 약 14시간을 예상했다. 최소 평속 30을 예상한 시간이다. 평속 30은 운동량이 부족했던 나에겐 꿈의 숫자. 난 팀원들의 배려로 이번 투어에 참가할 수 있었다. 6시간을 늘려 20시간으로 투어 일정을 수정하면서 가능해 졌다. 이번 도전에서 지리산 남원인의 긍지를 불태울 각오다. 연일 기온이 36도까지 치솟는 등 찜통더위가 맹위를 떨치고 있지만, 나의 버킷리스트 첫 줄이 궁금해 진다. 도전에서 멈출
▲18일 새벽 6시께 지리산 정령치 풍경과 오전 8시 성삼재 모습을 최봉오 기자가 사진에 담았다. 폭염을 피해 새벽 라이딩을 준비하는 전북 남원 동신스캇팀 라이더들이 있다. 남원 동신스캇팀은 순수한 자전거 동호인들의 모임이다. 이들의 구성은 학원 강사부터 농장주, 금융, 농부, 학생 등 10대부터 40대까지 다양하다. 남원 위너사이클링클럽 이상선 센터장을 중심으로 일과를 빼곤 자전거에 대한 생각만 하는 신조어 자덕들이다. 이달초 팀원들은 남원 주천면에서 지리산 정령치(1172m)까지 업힐만 14키로 구간 6회전에 성공한 괴수들이다. 오는 21일 오후 4시께부터 남원을 출발해 서울(반포대교 미니스톱)까지 1박2일 20시간을 329.18km 도전할 계획이다. 그들의 도전이 어디서 멈출지 옆에서 지켜보는 자덕들은 항상 흥미진진하다. 무모한 도전을 앞둔 동신스캇 팀원들은 오늘 새벽 4시께 지리산을 향해 페달을 굴렸다. 오늘 새벽 6시께 지리산 정령치의 풍경과 성삼재을 최봉오 기자가 동행해 사진으로 담았다. 한편 팀원들이 생생하게 보여주는 지리산 라이딩의 모습은 전국 동호인들이 남원지리산을 찾는 동기를 부여하고 있을 정도다.
▲17일 오후 남원 지리산 육모정 계곡과 고기리 약천가든 백숙.(최봉오 기자) "지리산 사나이들은 체감온도 36.9℃가 무섭지 않아요." 오늘 전북 남원은 34℃로 폭염경보가 지난 13일부터 닷새째 지속중이다. 삼복 가운데 첫 번째로 드는 초복에 남원 지리산 육모정 계곡은 평균 기온보다 4℃ 가량 낮다. '가마솥더위'가 두렵지 않은 남원이 올 여름 '물의도시'로 변신, 거듭 인기를 가속하는 이유는 청명한 하늘과 자연숲 그리고 시원하고 청정한 물이 있기 때문이다.
남원시 요천100리길에 핀 금계국(남원시 금지면 일원)을 사이에 두고 사진을 찍고 있는 남원엠티비 회원과 팀동신스캇 회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남원시 요천100리길에 핀 금계국(남원시 금지면 일원) 사이를 달리고 있는 남원엠티비 회원과 팀동신스캇 회원들 모습이다. 섬진강 주변 야생으로 자라는 뽕나무 오디는 라이더들에게 그늘과 파워젤(라이더들이 힘들때 먹는 보조제)을 제공하고 있다. 남원시 요천100리길에 핀 금계국(남원시 금지면 일원)을 사진에 담기, 가장 적합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남원시 요천100리길에 핀 금계국(남원시 금지면 일원)을 사진에 담기, 가장 적합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남원시 요천100리길에 핀 금계국(남원시 금지면 일원)을 사진에 담기, 가장 적합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남원시 요천100리길에 핀 금계국(남원시 금지면 일원)을 사진에 담기, 가장 적합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남원시 요천100리길에 핀 금계국(남원시 금지면 일원)을 사진에 담기, 가장 적합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남원시 광한루 앞 요천둔치 금계국 단지는 사진을 담을수 있도록 탐방객 출입을 용이하게 조성했다. 섬진강 주변 야생으로 자라는 뽕나무 오디는 라이더들에
10월 2일 지리산그란폰도 대회가 열린 지리산국립공원(지리산그란폰도,주관제공) "성삼재·정령치·오도재 악명 높은 고개 넘어 획득고도 3400m 구름에 잠긴 지리산 절경에 극한의 고통도 잊는다." 뉴스1, 차윤주 기자(뉴스1 캡쳐) 모든 걸 태워버릴 듯했던 여름이 거짓말처럼 물러가고 어느덧 완연한 가을로 접어든 10월. 그 두번째날, 지리산의 주인은 구름과 안개였다. 전국의 내로라하는 '자덕' 동호인들이 지리산 굽이굽이를 오르겠다고 전의를 불태웠지만, 그 산은 쉬이 속살을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더욱 우리는 지리산을 사랑하게 됐는지 모른다. 지난 2일 전북 남원시 등이 주최한 '제1회 지리산 그란폰도'는 지금까지 열렸던 수많은 자전거 동호인 대회 중 가장 힘들고 아름다웠던 대회로 기억될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겨우 열렸지만 첫 대회답지 않게 매끄럽고 세심한 진행으로 큰 사고 없이 마무리됐고, 참가자들은 드물게 아름다운 지리산의 풍경을 선물처럼 받아들었다. ◇성삼재·오도재 등 넘어 국내 최고 난도 대회 지리산 그란폰도가 예고된 건 올해 여름. 그란폰도(Granfond
일행이 촬영한 셀카사진 캡쳐 최윤호 라이더 제1회 전국 지리산그란폰도 대회를 준비하는 남원지리산이 라이더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4일 추석 연휴가 시작된 귀성길. 이때 지리산그란폰도 코스 답사라이딩에 나선 라이더들의 모습을 여기저기서 목격할 수 있었다. 이날도 어김없이 코스 답사에 나선 남원뉴스 시선을 사로잡는 라이더들이 있었다. 이들과 만난 시간이 오후 2시가 넘은 시간이었다. 성삼재에서 달궁삼거리 다운힐 구간을 점검하던 중이었다. 로드 한대가 휭 지나갔다. 엄청 빨랐다. 느낌으론 속력 70정도 달리는 것 같아 보였다. 순간 사고나면 어쩌지!!! ㅠㅠ 이어 일행으로 보이는 라이더와 눈이 마주쳤다. 난 그에게 "30이하로 가주세요"라고 소리쳤다. 서폿트를 마치고 안 사실이지만, 쏜살같이 지난 간 사람은 최윤호 라이더였다. 서울경기에서 로드를 잘타는 굇력의 사나이로 알려진 85년생 라이더였다. 서폿트를 하는 동안 물개의 힘찬 물질을 볼 수 있었다. 쉬는 법이 없었다. 지리산 정령치 업힐코스에서 이런 멋진 댄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