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월 21일 오후 5시 15분, 초미세먼지 재난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하고, 이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비상저감조치’를 1월 22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시행했다. 이번 조치로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이 제한되고, 건설공사장의 공사시간이 조정되며, 오염물질의 불법 과다 배출행위에 대한 점검과 불법소각에 대한 순찰이 강화된다. 또한, 공공기관에서는 차량 2부제가 실시된다. 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장은 수도권을 비롯한 강원영서,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으며, 나머지 지역은 '보통'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일 잔류 미세먼지가 대기 정체로 축적된 상태에서,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돼 대기 질이 악화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지도 단속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시민들에게는 마스크 착용과 실외활동 자제 등 개인 건강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미세먼지 오염도가 심각하고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최근 국민 천여 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1.0%가 미세먼지 오염도가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또한 건강에 위협이 된다고 응답한 사람도 78.7%로 나타났다.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으로는 중국 등 국외유입(51.7%)으로 인식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국내 발생 30.3%, 국내외·기후변화 등 복합적인 원인 18.1% 순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57.5%)이 알고 있으나 44.6%가 불만족을 표시했다. 정책 인지도가 낮을수록 불만족 응답이 높아 미세먼지 대책의 보완과 함께 국민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저감·국제협력·건강보호·고농도긴급대응 등 미세먼지 저감 4대 대책분야에 대한 정책우선 순위는 모두 비슷한 응답률을 보여, 전 분야에 걸친 총체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시민참여 의식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가 미세먼지 저감에 동참할 의향이 있다고 밝혀, 높은 시민의식 수준을 보였다. 노후경유차 등에 대한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