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타파인) 이상선 기자 = 새만금이 드디어 ‘철도 시대’에 들어선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지난 12일 ‘새만금항 인입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새만금 개발의 가속화와 전북권 균형발전을 이끌 핵심 인프라 사업으로, 서해안 경제축을 완성하는 ‘국가 성장 철도망’으로 평가된다.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전북 군산 대야에서 새만금 신항만까지 총 48.3km(신설 29.3km·기존 노선 개량 19.0km) 구간을 단선철도로 연결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총사업비 1조 5,859억 원이 투입되며, 오는 2033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다. 정거장은 총 7개소로, 이 중 4곳은 새로 신설된다.
신설 역사는 ▲옥구신호장 ▲새만금국제공항 정거장 ▲수변도시 정거장 ▲신항만 철송장 등이며, 대야 정거장과 군산옥산신호장은 개량 후 재활용된다.
또한 향후 열차 운행 계획에 따라 ‘새만금신호장’ 신설도 검토될 예정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익산에서 새만금 수변도시까지 전동열차로 36분 만에 이동이 가능한 여객 노선이 개통된다.
이로써 새만금권 내 주민과 기업 종사자들의 교통 편의가 크게 향상되고, 고군산군도 등 인근 관광지 활성화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또한, 화물 노선은 새만금 신항만과 대야, 광양항을 잇는 새로운 철도물류축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향후 서해안 물류 효율화와 산업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는 기본계획 고시 이후, 공구별 구분 및 설계·시공 일괄입찰(Turn-Key) 방식 등 입찰 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하는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를 거쳐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후 심의 결과를 반영해 설계 및 착공 등 후속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윤진환 철도국장은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새만금과 익산 등 인근 도시를 연결하는 생활형 철도망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새만금이 서해안 경제·생활축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 강화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건설 현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인입철도 건설은 새만금국제공항, 신항만, 산업단지, 수변도시 개발과 맞물려 ‘하늘·바다·땅을 모두 잇는 복합 교통 허브’로서의 새만금 비전을 실현할 중추 인프라로 꼽힌다.
특히, 항만과 내륙을 잇는 철도망이 구축되면 서해안 물류의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전북의 산업지형에도 대전환이 예상된다.
새만금이 더 이상 ‘미래의 땅’이 아닌 ‘움직이는 경제 중심지’로 변모하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