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수=타파인 특별취재팀] 본지는 지난 5편의 심층취재를 통해 이 사태의 전모를 추적했고,
이번 6편에서는 현장의 주민 분노를 되짚고, 행정의 책임을 다시 묻는다. 군수가 군민 위에 군림하니, 결국 ‘오니 사태’가 터졌다
1탄 배신의 시작...지렁이 농장이 오니 처리장으로
‘지렁이 농장’이라던 시설이 어느새 수도권에서 들여온
오니(하수 슬러지) 처리장으로 둔갑했다.
한여름에도 창문조차 열 수 없는 악취에
주민들은 “이건 농장이 아니라 공해시설”이라며 분노를 터뜨렸다.
운영자는 “지렁이 사육이 어렵다”는 핑계로 외부 오니 반입을 시작했고,
결국 이익은 업자에게, 피해는 주민에게 돌아왔다.
2탄 행정의 그림자...군청 인허가 과정 의혹
이 시설이 어떻게 허가를 받고도 오니 처리장으로 변질됐는지,
행정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군청은 (이정도로 악취 민원이 발생하는지?) “몰랐다”는 답변만 되풀이했지만,
지역 주민들은 “묵인과 방조가 아니냐”며 분노한다.
인허가와 감독 부실, 그리고 행정의 무책임한 대응은
결국 주민 불신으로 이어졌다.
3탄 (이익) 돈의 흐름...오니 처리, 누가 이익을 챙기는가
오니는 수도권에서 대량으로 반입되고,
업자는 이를 건조·처리하며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
수도권 지자체는 처리비 절감, 업자는 수익 확보,
그러나 피해는 고스란히 산서면 주민들의 몫이었다.
지역이 쓰레기 처리장의 뒷마당으로 전락하는 동안,
행정은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4탄 침묵의 대가...주민 건강과 생활 피해
지속된 악취로 주민들은 호흡기 질환, 피부 트러블 등 건강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상가 매출은 급감했고, 농산물 신뢰도는 추락했다.
주민들은 “군청은 알면서도 방관했다.
결국 피해는 우리 몫”이라며 울분을 터뜨렸다.
5탄 현수막으로 터진 분노, 그리고 군수 논란
지난 19일, 주민들의 인내가 폭발했다.
산서면 주민자치위원회, 번영회, 체육회, 이장협의회 이름으로
시내 곳곳에 현수막이 걸렸다.
“악취 방치하는 행정, 주민 건강은 누가 책임지나”
“악취에 숨 막힌다! 주민 건강 책임져라!”
늦가을 바람에 펄럭이는 현수막은
행정 불신의 상징처럼 보였다.
바로 그 시기, 장수군수 역시 (자신의 집) ‘공공하천 셀프 허가 논란’으로
언론의 집중 포화를 맞고 있었다.
군민들 사이에선 “군수가 군민 위에 군림한다”는 비판까지 터져 나왔다.
행정의 책임 회피와 이권 중심 구조가
결국 주민들의 분노를 폭발시킨 셈이다.
6탄 해법은 있는가...외부 오니 반입 금지와 전면 재점검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외부 오니 반입을 전면 금지하고,
허가 목적 외 운영시설에 대한 전수조사가 시급하다.”
주민들은 이미 집단 민원과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며,
환경단체는 ‘주민 참여형 감시기구’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더 이상 주민의 희생 위에 업자의 이익이 쌓여서는 안 된다.
타파인 특별취재팀 생각
산서면 오니 사태는 단순한 환경 민원이 아니다.
이것은 주민의 생명권과 지역의 존엄이 걸린 문제다.
행정이 침묵하면, 그 자리를 분노가 대신한다.
이제는 장수군이 책임을 회피할 것이 아니라,
주민의 목소리에 답해야 할 때다.
본지는 사태가 개선될 때까지
주민의 호소를 끝까지 기록하고,
책임 있는 행정의 이행을 감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