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치가 다시금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김관영 도지사, 견제 논란 확산…"도당권·도지사권 싸움 본격화”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1일 전북도의회에서 전북도당위원장 출마를 선언한 날,
지역 정가는 단순한 당직 경쟁 이상의 의미를 읽어냈다.
특히 그가 불과 며칠 전
김관영 전북도지사의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을
“부적격”이라 단정한 직후 출마를 공식화한 점에서
정치적 의도성과 계산된 행보라는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정치는 타이밍의 예술이다.
윤준병 의원의 도당위원장 출마와
이원택 의원의 도지사 출마 선언이 절묘하게 맞물린 시점,
그리고 그 직전의 ‘김관영 견제성 발언’까지 이어진 흐름은
단순한 우연으로 보기 어렵다.
전북 정치판 안팎에서는 이번 행보를
“도지사 경선을 앞둔 사전 교통정리”로 해석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 의원은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계획을 두고
“부적격”이라는 강한 표현을 사용했다.
비판의 자유는 존중되어야 하지만,
그 방식이 도정의 신뢰와 도민의 자부심을 훼손하는 수준이라면 그것은 정치가 아니다.
당시 전북도 관계자는 “IOC가 오해할 수 있는 표현”이라며 외교적 파장을 우려했고,
도민들은 “비판이 아니라 모욕이었다”고 반응했다.
김관영 지사 역시 “도민의 열망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라며 유감을 표했다.
정책에 대한 합리적 비판은 언제든 가능하다.
그러나 그 비판이 도민을 향한 모욕과 지역의 명예 실추로 이어질 때,
정치의 정당성은 스스로 무너진다.
이번 사태의 본질은 ‘의도’와 ‘결과’의 괴리다.
만약 윤 의원의 발언이 단순한 문제 제기가 아니라,
도당권 장악과
특정 인물의 도지사 도전을 위한
정치적 신호였다면,
그는 도민의 신뢰를
정치적 거래의 대상으로 삼은 셈이다.
정치인은 더 큰 목표를 위해
도민의 명예를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
‘정치적 포석’이라는 이름으로
도민의 감정을 건드리고,
지역의 미래를 계산 속에 넣는다면,
그것이야말로 가장 비열한 정치다.
경쟁과 견제는 정당하다.
그러나 그 경쟁이 원칙과 절제,
그리고 도민에 대한 존중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
권력 쟁취가 목적이 되는 순간,
정치의 본질은 타락한다.
정치인은 선거에서
이기기 위해 싸우는 존재가 아니라,
도민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싸워야 하는 사람들이다.
윤준병 의원의 이번 행보는
지역정치의 낡은 병폐를 다시 떠올리게 한다.
‘도민 위에 군림하는 정치’,
‘권력에 취한 정치’,
그 결과가
어떤 폐해를 남겼는지
우리는 이미 수없이 경험했다.
정치인은 신호를 던질 수 있다.
그러나 그 신호가
도민의 모욕과 분열을 불러오는
신호탄이 되어서는 안 된다.
윤준병 의원은
자신의 발언과 출마 시점이 불러온 파장을
진지하게 성찰해야 한다.
도당위원장 선거가
도지사 경선과 맞물린 이 미묘한 시점에서,
그의 말 한마디는 곧 도민의 자존심과 직결된다.
민주당과 전북 정치권은
더 이상 도민을 정치적 계산의 희생양으로 삼지 말아야 한다.
도민에게 모욕감을 주면서 얻는 권력은
오래가지 않는다.
정치는 권력의 기술이 아닌,
신뢰의 예술이다.
신뢰를 잃은 정치인은
결국 민심의 심판대에서
외면받게 될 것이다.
전북의 미래는
선거 한 번의 승리로 완성되지 않는다.
도민과의 신뢰,
투명한 절차,
책임 있는 언행이
정치의 출발점이어야 한다.
윤준병 의원의
이번 행보가 도민의 상처가 아닌,
성찰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