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후원하기

[심층취재 3탄] 돈은 누가 버나…오니 처리 논란

주민은 “악취 피해” vs 농장주는 “억울하다”

[장수=타파인 특별취재팀] = 장수군 산서면 신덕길 ‘지렁이 농장’이 사실상 오니(하수 처리 잔여물) 처리장으로 변질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매일같이 수십 톤의 오니가 반입돼 악취가 퍼진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농장주는 “억울하다”며 반박하고 나섰다.

 

■ 주민들 “매일 트럭 들어오고 악취 가득”

주민들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실려온 오니가 매번 대형 트럭으로 반입되며 마을 전체가 악취로 뒤덮이고 있다.

 

한 주민은 “한 차당 백만 원씩 업자 배만 불리는데, 우리는 매일같이 냄새에 시달린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주민들은 “지렁이 농장이라더니 사실은 쓰레기 장사였다”며 행정의 묵인 의혹까지 제기했다.

 

■ 농장주 “실제 냄새 주범은 주변 축사”

반면 농장주는 “실제로 냄새가 나는 곳은 양계장과 돈사이지, 우리 농장이 아니다”라고 항변했다.

 

이어 “냄새에도 색깔이 있다면 오해는 없었을 것이다. 실제 측정기를 설치했지만 우리 농장은 기준치 이하로 나왔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사설] 냄새에도 색깔이 있다면

 

■ 이익 구조 의혹은 여전

오니는 건조 과정을 거쳐 판매·재활용이 가능해 상당한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은 “환경 피해는 주민 몫, 돈은 업자 몫”이라며 구조적 불공정을 지적한다.

 

반면 농장주는 “법적 기준치를 준수하며 운영 중”이라고 맞선다.

 

■ 행정 묵인 논란까지

주민들은 군청이 사실을 알면서도 제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관리·감독 의무를 다하지 못해 오히려 업자의 ‘이익 구조’를 방패막이해 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 전문가 “투명성 확보 시급”

전문가들은 “오니 처리의 유입 경로와 이익 구조를 명확히 공개해야 한다”며 “환경 피해를 감수하는 지역 주민에게 합당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결국, 주민들의 분노와 농장주의 항변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지, 그리고 돈은 어디로 흘러갔는지 지역 사회의 관심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