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메뉴
후원하기

"남원을 망친 백적(百積)의 뿌리, 사유화된 정치 이젠 끊어야"

공천의 칼자루, 이제는 시민의 손으로

남원·장수·임실·순창,
이른바 ‘남장임순’
지역정치의 병폐는
하루아침에 생긴 것이 아니다.

 

그 뿌리는 단순한
인물 문제가 아니라,
공천을 사유화한 정치문화에 있다.

 

누가 지역을 대표할 자격이 있느냐보다,
누가 지역위원장의 신임을 얻었느냐가
더 중요한 현실
그것이
남원 정치의 비극의 시작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 기준을 재정비하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노컷 공천”을 선언하며
억울한 배제를 막고,
음주운전·성범죄·강력범죄,
3회 이상 탈당 전력자는
공천 원천 배제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앙의 개혁 기조가
지역에서는
사유화된 권력의 방패막이로
작동하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그동안
특히 남원지역을 망친
백적 중 하나는
바로 공천을 사유화하려 한
정치인들이었다.

 

약 35년 만에,
검사 출신 위원장 시대를 지나,
이제 판사 출신 위원장이 탄생했다.

 

지역민들의 기대는 크다.

 

하지만
기대만큼이나 두려움도 존재한다.

 

과거의
사유화된 정치문화가
단절되지 않는다면,
우리 지역의 정치가
새로워질 길은 멀다.

 

특히
‘남장임순’ 지역정치의 병폐 중
남원시의회 시의원 구조는
8대 8로 양분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이는 단순한 정치 구도 문제가 아니라,
공천과 경선 과정에서
불복과 반발이 끊이지 않았던
남원의 고질적 정치 구조를 보여준다.

 

유독 남원에서만
공천 잡음과 경선 불복이
심하게 반복된 이유는 명확하다.

 

선당후사의 기본이 무시되는
지역 정치의 민낯이다.

 

정치는 책임의 자리이지,
사유의 자리가 아니다.

 

남원의 정치가
바로 그 점을
가장 뼈저리게 반성해야 한다.

 

권력은 시민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천의 칼자루를 쥔 자들이
그것을 사유재산처럼 휘두르는 순간,

 

정당은
시민의 것이 아니라
소수의 사조직으로 변한다.

 

이제는
그 고리를 끊어야 한다.

 

깨끗한 공천만이 남원과
남장임순을 다시 일으킬 첫걸음이다.

 

지금
남장임순의 공천 구조는
시민의 참여보다
조직의 이해관계가 더 깊이
작용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공천이
시민의 평가보다
당내 줄 세우기와
세력 간 합의로 결정되는 현실,
이제는
그 악습을 끝내야 한다.

 

정치의 본질은
누가 더 많은 당원을
관리하느냐가 아니라,
누가 시민으로부터
신뢰를 얻느냐에 있다.

 

이 단순한 진리를 외면하는 한,
민주당의 개혁은
제자리걸음에 머물 수밖에 없다.

 

남원과 남장임순은
지금 갈림길에 서 있다.

 

사유화된 정치를 끝내고,
깨끗한 공천으로
백적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공천은
권력자의 잔치가 아니라
시민의 심판대다.

 

시민이 납득하지 못하는 공천은
그 순간부터 이미 패배한 선거다.

 

정청래 대표가 밝힌
'노컷 공천’의 정신이
지역에서도 실천으로 구현되길 바란다.

 

공천의 사유화를 끊고,
민심으로
지역을 다시 세우는
정치인들이 나오길 진심으로 응원한다.

 

남원의 정치가
백적의 그림자를 벗고
새 길을 열어야 할 때다.

 

그것이
남장임순이 다시 도약하는 유일한 길이다.

프로필 사진
이상선 기자

내 편인 사람들한테 비수를 꽂고, 상처 주는 일. 내 편인 사람들을 실망시키고, 불편하게 만드는 일. 남들은 기자가 하는 일이 '남의 비극 가지고 장사하는 거"라고 말한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1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