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 자임추모공원이 소유권 분쟁으로 장기간 파행을 빚고 있다.
봉안시설의 문이 닫히고 유족들이 고인을 추모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졌는데도, 전북도와 전주시는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급기야 유족들은 전북도청 앞에서 삭발식까지 감행하며 절규하고 있다.
행정의 존재 이유를 되묻게 하는 참담한 현실이다.
자임추모공원은 경매를 거쳐 일부 소유권이 영취산이라는 민간 기업에 넘어가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그러나 영취산은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재단법인 설립 허가를 받지 못했고, 이로 인해 관리 권한은 공중에 붕 떠 있는 상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유족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는 점이다.
사랑하는 가족의 유골 앞에 마음 편히 서지 못하는 현실은 그 어떤 행정 논리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그럼에도 전북도와 전주시는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다.
도는 법적 절차를 이유로, 시는 소유권 문제를 들어 적극적인 개입을 피하고 있다.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행정이 민간 분쟁 뒤에 숨는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과 유족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행정당국은 더 이상 뒷짐만 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
전북도는 관리·감독의 책임을 통감하고 강력한 행정조치에 나서야 하며, 전주시는 지역 주민의 불편과 고통을 해소하기 위한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소유권 다툼에만 매몰된 채 시간을 흘려보낸다면, 유족의 분노는 결국 행정 불신으로 이어질 것이다.
자임추모공원 사태는 단순한 민간 분쟁이 아니라 공공의 가치와 시민 권리를 시험하는 문제다.
전북도와 전주시는 지금이라도 머뭇거림을 버리고 책임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유족의 고통을 덜고, 행정의 최소한의 도리를 다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