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 기준과 경선룰 정비에 나섰다.
정청래 대표는
‘노컷 공천’을 강조하며
억울한 배제를 막고,
음주운전·성매매·강력범죄 등
명백한 부적격자만 공천에서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또 “3회 이상 탈당 전력자도 예외 없이 컷오프할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당원 주권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이런 중앙의 개혁 기조가
현장의 경선 룰에서는
왜곡된 형태로 작동할 소지가
있다는 점이다.
남원·장수·임실·순창,
이른바 ‘남장임순’ 권역에서는
시장·군수는 일반여론 50%,
권리당원 50%,
도의원·시군의원은
권리당원 100% 반영이라는
사실상 “당원 중심의 폐쇄형 구조"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는
‘당내 민주주의 강화’지만,
실상은 특정 세력이
공천의 칼자루를 쥐는 구조다.
지금의 경선 시스템은
지역위원장 발밑으로 숙일 수밖에 없는 구도라는 말이
현장에서 공공연히 회자된다.
누구를 내세우고
누구를 자를지,
경선의 향방은
‘당심’ 몇몇이 결정한다는 설이 나올 정도다.
“비례대표 1순위도
손뒤집듯 바꾸는 권한을 가진 인사가 누구겠는가,
그것이 현실이며,
이미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중론으로 퍼졌다.”
이 한 줄의 냉소가
지금 민주당
지역정치의 민낯을 드러낸다.
권리당원 중심의 구조는
곧 조직의 정치를 낳는다.
누가 시민의 평가를 더 받았느냐가 아니라,
누가 더 많은 당원을 관리하느냐,
누가 ‘조직의 핵심’에 가깝냐가 당락을 가른다.
남장임순의 정치판은
이미 여기저기서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횡여
이번에도 일방적인 밀어주기식 불공정 경선이 재연된다면,
경선의 키를 쥔 세력은
(승리로)
체면을 지켜내기 위해서라도
죽기살기로
(자신들은 내세운)
측근을 본선 무대에 올리려 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민심은 분열되고,
신뢰는 무너져 나갈 게 뻔하다.
(공정한 경선 과정을 깬 당사자들)
그들이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은 단 하나.
민심을 흉흉하게 하면
결국 자신들의 발등을 찍게 된다는 걸.
이 경선 구조의 가장 큰 희생자는
당원과 (그동안 지역위를 위해 희생한 당원)
지역 후보들이 될 것이다.
지역을 누구보다 잘 알고,
주민 신뢰를 받아온 인사들이
‘조직 논리’라는 이름 아래
공천 경쟁에서 배제된다면(그런 배제 과정은 경선 과정에서 항상 발생했다.).
그들은
‘물 먹은 당원’으로 전락해도
(선당후사라는 미명 하에)
하소연 할 곳도 없이
그동안의 꿈이 물거품이 된다.
결국
당 스스로 구성원을 소외시키는
행위를 하고도
떳떳해 한다.
남원·장수·임실·순창에선 이미
“전임 지역위원장의 야욕에 희생된 후보들이 적지 않다”는 평가가 돌고 있다.
지역과 당의 미래를 위해
헌신했던 인물들이
몇몇 세력의 이해관계에 묻히는 현실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자.
남장임순 4개 지역의 경선을
총괄하는
박희승 위원장은
무거운 책임과 함께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그러나
최근 지역 행사나 SNS에서
특정 인물이 반복 노출되며
“위원장이 특정 후보를 품고 있다”는
말이 공공연히 퍼지고 있다.
정치에서 공정성은 곧 생명인데도.
위원장의 작은 몸짓 하나가
곧 불공정으로 읽힌다면
그 자체로
당 전체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
“오얏나무 밑에서 갓끈을 고치지 말라”는 속담을
지금 절실히 되새겨야 할 때다.
항상
조직 중심의 경선은
불만과 분열을 낳는다.
경선에서
탈락한 후보들은 “조직이 밀었다”,
“위원장이 개입했다”는
불신을 품고
본선에서 등을 돌렸다.
이런 구조는
본선 패배로 이어지는
가장 확실한 자책골로 (우리지역에선 이런 여러 사례가 많다)
이어졌다.
공정하지 못한 경선은
‘이기는 정치’가 아니라
‘지는 정치’를 만들었다.
유권자 없는 민주주의는
껍데기일 뿐이다.
정청래 대표가 말한
‘노컷 공천’,
‘당원 주권 정당’의 취지는 분명 옳다.
그러나
그 정신이
지역 현장에서
권력의 사유화로 변질된다면
그 어떤 개혁도 공허해 질 것이다.
위 지역
민주당은 지금
‘조직의 힘’과
‘시민의 눈’ 사이에서
길을 잃고 있는 모양새다.
권리당원 중심 제도가
자율성을 강화할 수는 있으나,
민심을 거스르는 순간
그것은 자해적 제도가 될 것이다.
공천은 권력자의 잔치가 아니라
시민의 심판대 위에 서야 한다.
남장임순의
이번 경선은
단순한 지역 선거가 아니다.
민주당이
스스로의 민주주의를
증명할 좋은 시험대다.
민심이 등을 돌리는 순간,
그 누구도 면죄부를 받을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