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타파인) 이상선 기자 = 완주문화재단이 추진한 감성형 미식관광 프로그램 ‘2025 한입의 완주’가 높은 호응 속에 마무리됐다.
사전신청률은 무려 98%에 달했고, 참여자 만족도는 92.4%로 나타나 지역 기반 체험형 관광모델로서의 가능성을 실증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관광공사의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완주 농산물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밭에서 식탁까지’라는 콘셉트 아래, 농가의 노동과 청년 기획자의 시도, 로컬 창작자·뮤지션의 참여가 결합된 복합형 관광 경험을 제공했다.
구성은 ▲완주 농가·생산자 스토리 영상 상영 ▲완주 9품을 활용한 3단 로컬 도시락 제공 ▲지역 뮤지션 라이브 공연 ▲참여자 대화 및 교류 세션 등으로 구성돼 단순히 먹고 보고 듣는 것을 넘어서 공간·시간·감정을 함께 공유하는 경험으로 운영됐다.
총 3회차, 대상 9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프로그램은 참가 신청부터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사전신청률 98%, 참여자 설문 전체 만족도 92.4%, 재참여 의사 89.7%, 테이블 세팅·현장 분위기 만족도 96.1%, 도시락 구성·풍미 평가 88.3%, 영상 콘텐츠 감동·이해도 90.6%.
이처럼 높은 수치는 완주형 체험관광 콘텐츠가 단순한 이벤트 수준을 넘어 브랜드화 가능성을 가진 모델임을 보여준다.
각 회차는 지역 현장 기반으로 기획되어 장소성과 환경, 활용 가능성을 고려했다.
‘드라이브 인 페스타’, ‘별빛주막: 소양점’ 등 완주의 대표 축제와 연계했으며, 삼례문화예술촌 내 카페 ‘삼례로’ 등 공간의 정체성을 반영해 회차마다 감성 경험을 다층적으로 전달했다.
완주문화재단은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계절별 식재료 기반 콘텐츠 확장, 스토리 기반 도시락 브랜드화, 미식관광 거점 공간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완주형 미식 관광 서비스를 지속 가능한 구조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철우 완주문화재단 상임이사는 “‘한입의 완주’는 미식과 문화가 결합된 완주형 체험 콘텐츠로, 로컬푸드 1번지로 불리는 완주의 정체성과 ‘완주 9품’의 가치를 관광 경험으로 전환한 사업이다”며 “앞으로도 미식 기반 체류형 관광 모델을 강화해 완주만의 관광 서비스 브랜드를 키워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