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1.5℃
  • 구름많음강릉 4.1℃
  • 구름많음서울 0.2℃
  • 흐림대전 3.4℃
  • 구름많음대구 4.1℃
  • 구름많음울산 4.4℃
  • 흐림광주 5.7℃
  • 구름많음부산 5.7℃
  • 흐림고창 6.2℃
  • 구름많음제주 9.8℃
  • 구름많음강화 0.3℃
  • 흐림보은 2.2℃
  • 구름많음금산 2.7℃
  • 흐림강진군 6.6℃
  • 구름많음경주시 4.0℃
  • 구름많음거제 7.3℃
기상청 제공
메뉴
후원하기

순창군, 대한민국을 ‘떡볶이로 물들이다'

2025 코리아 떡볶이 페스타, 4만 명 열광 속 대성황
순창 고추장과 떡볶이의 만남, 미식·체험·스마트 축제로 진화
도내 최초 스마트 주문 시스템 도입…“대기없이 즐기는 미래형 축제”
순창 고추장, 떡볶이와 손잡다…지역경제와 브랜드 가치 모두 잡은 축제
셰프들의 무대 + 가족 체험 콘텐츠…“맛과 재미, 두 마리 토끼 잡았다”

(순창=타파인) 이상선 기자 = 순창이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의 미식 지도를 달궜다.

 

‘2025 순창 코리아 떡볶이 페스타’가 지난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4만여 명의 방문객이 몰리는 폭발적 열기 속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순창군발효관광재단(이사장 최영일 순창군수)이 주최한 이번 축제는 대한민국 대표 소울푸드 ‘떡볶이’를 매개로 순창 고추장의 세계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어내며 명실상부 ‘K-소스 수도’ 순창의 위상을 전국에 각인시켰다.

 

축제는 순창발효테마파크와 전통고추장민속마을 일원에서 ‘고추장으로 맛을 입힌 대한민국 대표 떡볶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특히 올해 행사는 5무(無)·5유(有) 정책을 기반으로 한 ‘방문객 중심 축제’로 기획됐다.

 

쓰레기 없는 행사, 정찰제 도입, 친절 서비스, 안전 운영, 깨끗한 환경 관리 등을 통해 ‘한층 업그레이드된 순창형 친환경 축제 모델’을 제시했다.

 

총 80개의 부스가 운영된 가운데, 떡볶이·분식 판매 부스만 46개에 달했다.

 

순창의 각 읍·면이 직접 참여해 전통 떡볶이, 눈꽃 떡볶이, 토마토 떡볶이 등 다양한 지역 특색 메뉴를 선보이며 방문객들의 미각을 사로잡았다.

 

이러한 주민 주도형 운영은 ‘지역민이 직접 만드는 축제’라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페스타는 볼거리·체험형 콘텐츠를 대폭 확장하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축제로 진화했다.

 

안유성 셰프의 ‘떡볶이 연구소’, 레이먼 킴 셰프의 ‘떡볶이 파인다이닝’, AR(증강현실) 모바일 게임 ‘찾아라 떡볶킹’ 등이 이어지며 관객의 눈과 입을 동시에 즐겁게 했다.

 

또한 ‘나만의 DIY 떡볶이 밀키트 만들기’, ‘고추장 메주 만들기 체험’, ‘장작불 고추장 불떡꼬치 굽기’ 등 어린이와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이 연일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번 축제는 도내 축제 중 최초로 스마트 주문 시스템을 도입했다.

 

방문객들은 테이블별 QR코드로 전용 웹앱에 접속, 각 부스의 메뉴와 실시간 대기 현황을 확인하고 모바일로 주문할 수 있었다.

 

앱에서는 클린존 현황, 축제 지도, 쿠폰 등록, 길찾기 기능까지 제공돼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한층 높였다.

 

이는 순창군이 ‘스마트 관광 도시’로 나아가는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축제에는 전주대학교 RISS(지역혁신지원사업) 팀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콘텐츠 기획과 현장 운영을 지원했다.

 

류인평 전주대 교수는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파격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한 결과 순창형 축제의 새로운 성공 모델을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최영일 군수는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방문객 덕분에 순창 고추장의 매력과 지역의 따뜻한 정을 널리 알릴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주민이 함께 기획하고 참여하는 ‘참여형 축제’로 발전시켜 순창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프로필 사진
이상선 기자

“당신의 기록을 함께 써 내려가는 펜”


기록하는 언론,
사람을 중심에 놓는 언론,
타파인입니다.

타파인은 사람의 삶과 현장의 온도를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기록의 언론입니다.
누군가의 이야기로 세상이 조금이라도 더 따뜻해지길 바라는 마음, 그 마음 하나로 우리는 오늘도 남원과 지리산 곳곳을 걸으며 사람들의 숨결을 글로 새기고 있습니다.


말하지 못한 진심을 대신 전하고,
잊힐 뻔한 순간을 기록으로 살려내며,
당신의 이야기가 더 멀리, 더 바르게 닿도록
“펜의 힘”을 믿고 한 글자 한 글자 써내립니다.

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